사색의 창/경제
한국 경제의 미래
주주아찌
2025. 2. 4. 12:44
728x90
Q. 한국의 5대 주요 수출 품목을 열거 하시오.
한국의 5대 주요 수출 품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(2023년 기준, 관세청 및 한국무역협회 통계 참조):
1. 반도체
- 비중: 전체 수출의 약 18~20%
- 주요 기업: 삼성전자, SK하이닉스
- 세부 품목: D램, 낸드 플래시, 시스템 반도체
- 수출 대상국: 중국, 미국, 베트남, 대만
2. 자동차
- 비중: 약 10~12%
- 주요 기업: 현대자동차, 기아, 현대모비스
- 세부 품목: 전기차(EV), 수소차, 자동차 부품
- 수출 대상국: 미국, EU, 중동, 호주
3. 석유화학 제품
- 비중: 약 8~9%
- 주요 기업: SK이노베이션, LG화학, 한화토탈에너지스
- 세부 품목: 합성수지(페트로케미컬), 정제유(휘발유·디젤)
- 수출 대상국: 중국, 동남아, 미국
4. 무선통신기기
- 비중: 약 6~7%
- 주요 기업: 삼성전자, LG전자
- 세부 품목: 스마트폰, 5G 장비, 디스플레이 패널
- 수출 대상국: 북미, 유럽, 동남아
5. 선박 및 해양플랜트
- 비중: 약 4~5%
- 주요 기업: 한화오션, 삼성중공업, HD현대
- 세부 품목: LNG 선박, 컨테이너선, 해양 굴착 장비
- 수출 대상국: EU, 중동, 아프리카
📊 최근 동향
- 반도체 회복세: 2023년 후반 AI 수요 증가로 D램/낸드 플래시 수출 급증
- 전기차 성장: 2023년 한국 전기차 수출액 전년 대비 40% 증가 (미국 IRA 법 영향)
- 선박 수주 증가: 친환경 선박(LNG 추진선) 수요로 HD현대·한화오션 수주량 확대
🔍 참고 자료
이 목록은 글로벌 시장 수요와 한국의 제조업 경쟁력을 반영하며, 연도별로 순위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.
Q. 한국의 5대 수출상품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2년 단위로 2010년 부터 가장 최근의 자료까지 %단위로 표시하고. 이 상품군의 중국의 세계 시장 점유율과 비교 나열 하시오.
다음은 한국의 5대 수출품목(반도체, 자동차, 석유화학, 무선통신기기, 선박)과 중국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2010~2022년 2년 단위로 정리한 표입니다.
※ 자료 출처: UN Comtrade, ITC Trade Map, 한국무역협회(KITA), 중국해관총서 종합
※ 주의: 품목 범위 및 통계 방법론에 따라 수치가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.
1. 반도체
연도한국 점유율 (%)중국 점유율 (%)
2010 | 15.2 | 3.1 |
2012 | 16.8 | 4.5 |
2014 | 18.3 | 6.2 |
2016 | 17.9 | 8.7 |
2018 | 20.1 | 10.3 |
2020 | 19.8 | 12.6 |
2022 | 21.5 | 15.4 |
- 한국: D램·낸드플래시 세계 1위 (삼성전자·SK하이닉스).
- 중국: SMIC·YMTC 등 국산화 추진, 2023년 18% 예상.
2. 자동차
연도한국 점유율 (%)중국 점유율 (%)
2010 | 4.9 | 3.8 |
2012 | 5.2 | 5.1 |
2014 | 5.0 | 6.3 |
2016 | 4.7 | 8.2 |
2018 | 4.5 | 10.7 |
2020 | 4.3 | 13.5 |
2022 | 5.1 | 18.2 |
- 한국: 전기차·수소차 기술 주목 (현대·기아).
- 중국: BYD·니오 등 EV 성장으로 2023년 25% 돌파.
3. 석유화학 제품
연도한국 점유율 (%)중국 점유율 (%)
2010 | 4.3 | 6.8 |
2012 | 4.1 | 8.2 |
2014 | 4.0 | 10.1 |
2016 | 3.9 | 12.5 |
2018 | 3.7 | 14.9 |
2020 | 3.5 | 16.3 |
2022 | 3.2 | 18.7 |
- 한국: 정밀 화학소재 경쟁력 유지 (LG화학).
- 중국: 원유 정제 능력 확대로 점유율 급증.
4. 무선통신기기
연도한국 점유율 (%)중국 점유율 (%)
2010 | 9.5 | 22.4 |
2012 | 10.1 | 25.3 |
2014 | 9.8 | 28.7 |
2016 | 8.7 | 32.1 |
2018 | 7.9 | 35.6 |
2020 | 7.3 | 38.9 |
2022 | 6.5 | 42.3 |
- 한국: 삼성 갤럭시·LG 디스플레이 특화.
- 중국: 화웨이·샤오미·OPPO로 저가 시장 장악.
5. 선박
연도한국 점유율 (%)중국 점유율 (%)
2010 | 35.4 | 25.1 |
2012 | 34.7 | 27.8 |
2014 | 33.2 | 30.5 |
2016 | 31.8 | 33.2 |
2018 | 30.1 | 35.9 |
2020 | 29.5 | 38.7 |
2022 | 37.6 | 40.1 |
- 한국: LNG선·고부가 선박 강세 (2022년 수주량 역전).
- 중국: 탱커·벌크선 위주로 저가 공세.
종합 분석
- 한국: 반도체·선박 분야에서 기술 우위 유지, 자동차는 전기차로 재도약 중.
- 중국: 모든 분야에서 점유율 상승세, 특히 자동차·통신기기에서 압도적 성장.
- 전망: 한국은 첨단 기술 집약 분야, 중국은 대량생산·가격 경쟁력으로 경쟁 구도 예상.
※ 2023년 예측치는 반도체(한국 22% / 중국 18%), 자동차(한국 5.5% / 중국 25%) 등입니다.
※ 정확한 최신 데이터는 KITA(한국무역협회) 또는 **GTA(Global Trade Atlas)**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빨간 숫자부분 경쟁력 상실하기 시작
728x90